fwisbg202507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For Women in Science

로레알코리아 HOME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로레알 그룹은 “세계는 과학을 필요로 하고, 과학은 여성을 필요로 한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여성 과학 인재를 확충하고 여성이 과학계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40개국에 걸친 총 4,700여 명의 여성과학자들을 지원해왔으며, 이 중 7명이 노벨상 수상자입니다.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로레알코리아는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과 함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운영, 국내 여성과학자 중 뛰어난 연구 업적을 보유한 1명의 학술진흥상 수상자와 전도유망한 4명의 펠로십 수상자들을 선정합니다. 2002년부터 총 105명(중복 포함)의 수상자들을 배출하며, 여성과학계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제24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학술진흥상 수상자​

임미희 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자연과학부 화학과
(금속신경단백질화학 연구단장)

- 알츠하이머병(치매)의 발병 원인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

- 금속, 단백질, 신경전달물질 및 활성 산소종으로 이루어진 생체 네트워크와 치매 병리와의 연관성 규명 연구 발표

- 알츠하이머병의 다중 위험인자들의 연결요소를 확인하여 그 반응성 억제 및 독성을 제거하고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통해 신개념 치매 치료제 개발에 도전

- 화학분야에서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된 두 번째 여성 과학자이며, 이에도 다수의 국제적 과학상 수상을 통해 세계적인 여성 과학자로 인정

- 대한화학회 등 여러 학회 및 협회에서 활동하며, 특히 여러 여성과학자위원회 위원으로서 여성 과학자 육성에 기여

제24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십 수상자

강미경 조교수

고려대학교 보건환경융합과학부

- 약물전달시스템을 중심으로 치료 효율을 높이고 독성을 줄이며 면역반응 조절을 동시에 고려한 정밀의료 기반 융합형 치료 플랫폼 기술 연구

- 면역세포를 이용해서 암을 치료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대식세포 기술 특허를 미국과 한국에 등록했으며, 병원 및 산업체와 공동연구를 수행하며 기술 실용화 위해 노력

전지혜 조교수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 간질환 및 노화에 따른 대사 기능 장애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조직 재생 및 복합 치료 전략 제시

- 2024년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인재상”을 수상하였으며, Keystone Symposium Scholarship 수혜자 및 국내외 학회에서 다수의 포스터상 수상

조유나 연구교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 우리 몸의 면역세포인 T세포가 어떻게 암세포와 싸우는지를 연구하고, 면역세포들이 서로 소통하는 신호물질(사이토카인)의 작동 원리를 밝혀내는 면역학 전문가

-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및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에 연이어 선정되어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 중

이정현 조교수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 국내외 연안환경과 서식생물을 분석해 생물농축 및 생물학적 확대를 거쳐 인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규 및 미지 유해화합물 40여 종 규명

- 환경부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 및 UNEP 산하 ‘NOWPAP 오염모니터링 전문가위원회’ 등 국내외 주요 자문기구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

2025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

매년 과학 발전에 기여한 5 명의 수상자를 선정하며, 수상 분야는 격년마다 생명과학 및 환경과학,
또는 물리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한국에서는 지난 1998년과 2008년에 베르티스 CSO 유명희 박사와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교수가 세계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 수상자

마리아 테레사 도바, 입자 및 장(場) 물리학

힉스 입자의 발견과 특성 규명, 새로운 물리학 탐구, 우주선 물리학에 대한 선도적 연구

아프리카 및 아랍 지역 수상자

프리실라 베이커, 화학

환경 중 유해 오염물질을 정밀하게 감지하는 고감도 전기화학 마이크로센서 개발

북미 지역 수상자

바버라 핀레이슨-피츠, 환경과학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새로운 반응 및 대기와 공기 중 입자 간 계면 반응의 분자적 메커니즘 규명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수상자

샤오윈 왕, 응용수학

해시 함수의 근본적인 결함을 밝혀내 새로운 해시 함수 표준 개발에 기여

유럽 지역 수상자

클라우디아 펠저 교수, 응집물질물리학

미래 친환경 에너지 기술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자기 물질을 발견∙설계하고 ‘위상 양자 화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 개척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국내수상자

베르티스 CSO

유명희 박사

1998년 수상:
단백질 접힘 구조 및 질병 상관관계 규명

- 現 서울대학교 이사회
- 前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회장
- 前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석좌교수

2008년 수상:
마이크로 RNA 형성 과정 규명

- 現 한국인 최초 영국 왕립학회 회원
- 現 미국국립과학원 회원
- 前 국가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자 중 노벨상 수상자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교수

(1995 노벨 생리학·의학상)

아다 요나스 교수

(2009 노벨화학상)

엘리자베스 블랙번 교수

(2009 노벨 생리학·의학상)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교수

(2020 노벨화학상)

제니퍼 A. 다우드나 교수

(2020 노벨화학상)

안 륄리에 교수

(2023 노벨물리학상)

카탈린 카리코 교수

(2020 노벨 생리학·의학상)